본문 바로가기
  • 영혼이 따뜻해 지는 Human&Space에 오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유익한 자료

불안과 사고 억제B

by 송구자 2021. 3. 16.

심리 치료을 통해 이러한 무의식적인 불안을 의식되어 경험되거나 외현적인 불안 뒤에 숨어 있는 무의식적인 불안을 제대로 파악하고 이해하게 되면 자신의 근거 없는 신경증적인 불안이 경감되고 자유로와 지는 경우를 본다. 이렇게 무의식적인 불안은 한 인간의 심리적 역동에서 대단히 중요한 역활을 한다. 따라서 이를 제대로 인식하고 통찰하는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방어적인 행동 뿐만이 아니라 성격 양상이나 자아억제
(Suppression) 의 발달 등도 모든 불안에 대처하는 방식의 표현은 조절적 역활을 한다. Kohut는 성격 기능에서 자기 (Self) 를 중요하게 보았는데 그에 의하면 강한 불안의 주된 원천은 자기 응집감의 파편화나 상실감에 대한 두려움이 관련된다. 예를 들어 광장공포증의 경우 상담현장에서 분리~개별화 (부모님으로 부터 심리적으로 독립하여 자기자신의 주체적이고 자율적 사람으로 서는것, 자기정체성 확립)와 자율성 영역에서 어려움과 갈등이 중심적인 역활을 한다고 말하며 무엇 보다 내담자의 무의식적이고 심리적인 갈등의 역활이라고 할 수있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부정적 정서를 단지 불편하다는 이유로 무조건 억제하려는 시도를 하기보다 자기 경험을 있는 그대로 받아드리고 버티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자신의 내적경험에 대해 보다 정직하고 진실되게 들여다 볼 수있는 자기 반성적 태도와 용기가 필요하다. 먼저 자기자신에 대한 있는 그대로 신뢰, 성찰과 자기개방을 솔직한 감정으로 표현 할때 \"억제\"를 막을 수 있다

'유익한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이 가르치는 남편의 의무  (0) 2021.03.16
남편  (0) 2021.03.16
불안과 사고 억제A  (0) 2021.03.16
나를 찾는 숨박꼭질  (0) 2021.03.16
강박장애  (0) 2021.03.1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