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영혼이 따뜻해 지는 Human&Space에 오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유익한 자료

건강한 자기가 되려면

by 송구자 2022. 3. 2.

건강한 자기(Self )는 인격의 핵심부분을 가리키는 개념으로 
주체성,  나의 응집력,  일어나는 힘, 주도적 자기, 이상과 가치관, 재능과 기술 이모든 것의 저장고 이기도 하다.

자기는 초기 양육 대상과 갖은 공감적 경험에서 응집적 자기가 이루어지며 이는 점차적으로  자기 구조를 지닌 단일체 자기가  형성하게 된다.
 
결핍 :
자기가 형성하는데  아이가 감당하기 어려운 
과도한 좌절경험은 자기애가 상처를 입게 된다 그 이유로 성장이 멈추거나  왜곡된 상태가 된다. 
적절한 최적의 좌절은 꼭 필요 하다  그것을 넘어 갈 때 자아가 강해진다.
생애 초기에  부모님으로 부터 결핍 없이 공감적 반응을 받을 때 건강한 자기가 형성되며  생애 두해는 '핵자기'가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치료 방법:
회복을 위해서 성장과정에서 방해 받은 상처가 분석 과정에서 다시 발현되게 하므로  분석가와 자기 대상관계를 다시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자기대상 전이' (selfobject transferences) 라 부른다.
상담자가 자기대상으로 내담자에게 적절하게 반응해 줄 때 내적 깊은 이야기를 나눌수 있으며 내담자가 방해 받았던 발달 과정을 다시 활성화 해서
건강한 '자기' (Self) 를 형성하게 된다.

상담시 환자의 경험에 공감적으로 몰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고 최적의 분석 환경을 창출하고, 분석 이론은 뒤에서 자기를 체계화 하는 것을 도와
주는 역활을 하고 상담자는 마음을 열고 환자의 경험을 충분히 공감하며 듣는것이 중요하다

유아의 자기애 과정은 필수적인 것이며 평생지속 되는 것이라 보았다. Kohut은 생애 아주 초기부터 어머니가 공감적으로 아기에게 반응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초기 아기는 더 할 수 없이 행복한 상태이다.
이렇게 매우 행복한 자기의 상태를 유지하려는 욕망이 곧 '자기애'라고 설명하였다.
말할 수 없이 행복한 그 상태를 구성하고 있는 아기와 어머니 두 사람 완전한 사랑을 경험하며 완벽하게 행복한 자기와 그런 사랑을 주고 있는
엄마는 이상적 어머니다
그러면서  유아적 자기애로 부터 성인의 자기애로 발달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좌절을 경험한다.
이 때 최적의 좌절일 경우 '강한 자기'를 형성하게 된다 반대로 개인의 대처 능력을 넘어서는 심한 좌절을 겪게 될 때, 개인은 '유아 수준의
자기애'에 머무르게 되고 취약한 유아적 상태를 보이게 된다. 어른이면서 유아적 심리상태이다.

Freud는 자기애적 상처를 받은 유아는 두가지 방향에서 상처를 처리 하려고 노력하게 된다고 한다  .
하나는 좋고 쾌감을 주고 완벽한 모든 것이 자신에게 속하고, 불쾌하고 나쁘고 불완전한 것들은 '외부'에 있다고 경험 한 Freud는 '순수
쾌락자아' ( purified pleasure ego) 라고 불렀다 이것은 이드의 과시적 측면으로 나타나고 자아는 이에 수치심을 느끼게 된다.

또 다른 방향으로 자기애가 초자아에 전달되어 자아는 자아 이상을 쫓아 살려고 노력하게 된다그결과 자아는 자아 이상에 따라 자신을 평가하고
자아 이상이 아무리 완벽하더라도 그것을 충족시키려고 애쓴다. 대상이 내재화 되어 자아 이상으로 기능하는 것을 수궁하게 된다.

코헛은 자기애 상태로 부터 새로운 자기애적 심리구조가 형성된다는 새로운 견해를 피력하기도했다 성장초기에 자기대상과 자아 이상 그리고 자아
사이의 상호 작용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적절한 환경이 주어질 때, 자기애로 부터 자기와 자아 이상이 형성된다.

자아 이상이란 소망하고 '존경했던 대상의 완벽함이 내재화된 것이다'. 자아 이상은 자아에 동조적인 가치 (ego syntonic
value)의 '핵' 자기로서 자아가 활동하고 목적을 추구할 때 방향을 제시하는 신호등과 같이 작용한다
강하고 굳건하게 이상화된 초자아는 자기애적 에너지를 상당 부분 흡수하여 인격이 자기애적으로 균형을 잃지 않도록 도와준다
'수치심'은  자아가 자기애적 자기의 과시적인 욕구를 적절하게 처리해 주지 못할 때 발생한다.


코헛은 자기애적 자기와 자아 그리고 초자아 사이의 상호작용이 자기애적 균형과 항상성 유지에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자아는 목표를 성취하려 하거나 외부 대상을 모방하고 순응하려 한다  특히 초자아의 이상과 기준에 따라 살려고 노력하게 된다.


- 자기애적 자기는 자아에게 완벽함을 과시하려고 노력한다 외부 세계나 초자아에게 자아를 매게로 하여 완벽함을 과시 하고 싶어한다 그결과
리비도가 조금 방출하게 되고, 자아는 고통스러운 수치심의 가능성에 대해 경계하게 된다 -

내적 균형은 그 사람의 개성을 나타내는 시금석이 된다고 보았다 저명 인사들은 자아 이상보다는 잘 통합된 자기애적 자기가 지배적인 경우가
많다고 한다.
자아 이상은 욕동을 잘 조절하기 보다 잘 밀고 나가야 뛰어난 인물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무의식적인 과대 환상을 수행하려는 자기애적 욕구와 자기애적 자기와 자아와 초자아 사이에 내적 균형은 적절한 방향으로 변화 할 수 있다.
상담자는 공감적 자기 대상, 존경 대상으로 역활을 하게 될 때  내담자는 건강한 자아 이상이 회복을  갖게 된다.

자기 발달과정의 활성화가 중요하다.

'유익한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분석이란?  (0) 2022.09.02
강물이 흐르듯 살라는 것  (0) 2022.04.16
만남의 인연  (0) 2021.12.05
상실의 단계  (0) 2021.07.22
노이로제로 부터 벗어나기  (0) 2021.07.22

댓글